맨위로가기

러시아어 음운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어 음운론은 러시아어의 소리 체계를 연구하는 분야로, 모음과 자음의 특징, 음소의 변이음, 자음의 유성음화 및 무성음화, 연음화, 자음군, 강세, 철자와 발음의 관계 등을 다룬다. 러시아어는 강세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단어의 형태에 따라 변하며, 철자와 발음 간 불일치가 존재한다는 특징이 있다. 모음 체계는 5개 또는 6개로 분석되며, 자음은 경음과 연음의 대립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2. 모음

러시아어의 모음은 강세가 있는 음절과 없는 음절에서 다르게 나타나며, 주변 자음의 종류(경자음 또는 연자음)에 따라서도 발음이 달라진다.

강세가 있는 음절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섯 개(/a, e, i, o, u/)의 모음 음소가 있다고 분석되지만, /ɨ/를 별개의 음소로 인정하여 여섯 개(/a, e, i, ɨ, o, u/)로 보는 견해도 있다.[1] 이 모음 [ɨ]를 /i/의 변이음으로 볼 것인지, 독립된 음소로 볼 것인지에 대해서는 모스크바 학파와 상트페테르부르크 학파 사이에 오랜 논쟁이 존재한다. 언어학계에서는 주로 다섯 개 모음 체계를 받아들이지만, 러시아 현지 교육에서는 여섯 개 모음으로 가르치는 경우가 많다.[2]

강세가 없는 음절에서는 모음의 구분이 줄어드는 모음 축약 현상이 두드러진다. 이 경우, 경자음(구개음화되지 않은 자음) 뒤에서는 세 개(/a, i, u/ 또는 /a, ɨ, u/), 연자음(구개음화된 자음) 뒤에서는 두 개(/i, u/)의 모음만이 구별되어 발음된다.

역사적으로 공통 슬라브어 시기에는 [i]와 [ɨ]에 해당하는 소리가 별개의 음소였으나, 러시아어 발달 과정에서 이 둘은 상보적 분포를 보이며 하나의 음소(/i/)의 변이음으로 재구조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2. 1. 모음 음소

러시아어는 강세가 있는 음절에서 다섯 개(/a, e, i, o, u/) 혹은 여섯 개(/a, e, i, ɨ, o, u/)의 모음을 가진다.[1][2] 어떤 분석을 따르느냐에 따라 모음의 개수가 달라진다.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i(ɨ)u
중모음ealign="center" style="font-size:120%" |o
저모음a



러시아어에 모음 음소가 몇 개 존재하는지는 오랫동안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다. 논쟁의 핵심은 [ɨ] 소리가 /i/의 변이음인지, 아니면 독립적인 음소 /ɨ/인지에 관한 것이다.

러시아어 모음 사각도


모스크바 학파는 5모음 체계를 주장한다. 이들은 [ɨ]가 구개음화되지 않은 경자음(비구개음화 자음) 뒤에만 나타나고 (예: жить|지치rus [ʐɨtʲ] '살다', шип|시프rus [ʂɨp] '가시', цирк|치르크rus [t͡sɨrk] '서커스'), [i]는 구개음화된 연자음 뒤나 어두 등 다른 환경에서 나타나는 (예: щит|시트rus [ɕːit] '방패', чин|친rus [t͡ɕin] '계급') 상보적 분포를 근거로 든다. 즉, [ɨ]와 [i]는 하나의 음소 /i/가 놓이는 환경에 따라 다르게 실현되는 소리라는 것이다. 비록 /a/의 강세 변이음 [ä]와 [æ]도 비슷한 상보적 분포를 보이지만, 이를 별개의 음소로 간주하는 학자는 없다.

반면 상트페테르부르크 (레닌그라드) 학파는 6모음 체계를 주장하며 다음과 같은 근거를 제시한다.

  • 러시아어 원어민 화자는 [ɨ] 소리만 따로 발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파벳 글자 ИЫ의 이름 발음에서 [i]와 [ɨ]를 구별한다.[1]
  • 단어 첫머리에 [ɨ]가 드물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и́кать|이카치rus ('и 소리를 내다')와 ы́кать|이카치rus ('ы 소리를 내다')는 최소대립쌍을 이룬다. 또한 코미 공화국의 강 이름인 Ыб|입rus [ɨp]과 같은 차용어에서도 나타난다.
  • 형태론적으로 경자음과 연자음 사이의 교체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гото́'''в'''|가토프rus [ɡʌˈto'''f'''] ('준비된' 형용사, 남성, 단형), гото́'''в'''ый|가토비rus [ɡʌˈto'''v'''ɨj] ('준비된' 형용사, 남성), гото́'''в'''ить|가토비치rus [ɡʌˈto'''vʲ'''ɪtʲ] ('준비하다' 동사, 타동사)를 비교하면, /i/는 앞선 자음을 구개음화시키는 반면([v] → [vʲ]), /ɨ/는 그렇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는 /i/와 /ɨ/가 기저에서 다른 음소임을 시사한다.


언어학계에서는 모스크바 학파의 5모음 체계 분석이 더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러시아 학교 교육에서는 전통적으로 여섯 개의 '모음'이 있다고 가르친다 ('음소'라는 용어 대신 '모음'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에 유의).[2]

공통 슬라브어 시기에는 *i ([i])와 *y ([ɨ])가 각각 슬라브 조어의 *ī와 *ū에서 유래한 별개의 음소였던 것으로 재구된다. 그러나 이후 고대 동슬라브어에서 음소적 구개음화 자음이 발달하면서 *i와 *y는 더 이상 모든 환경에서 대립하지 않게 되었고, 점차 서로의 변이음으로 재해석되어 단일 음소 /i/를 이루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재해석이 두 소리의 합병이나 발음 변화를 즉각적으로 가져오지는 않았다. 이후 12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연구개 자음 뒤에 오던 /i/의 변이음이 [ɨ]에서 [i]로 바뀌면서, 해당 연구개 자음들이 구개음화되는 변화가 일어났다. 예를 들어 고대 러시아어 хытрыи|히트리orv [ˈxɨtrɨj]는 현대 러시아어 хитрый|히트리rus [ˈxʲitrɨj] ('교활한')로, гыбкыи|깁키orv [ˈɡɨpkɨj]는 현대 гибкий|깁키rus [ˈɡʲipkʲij] ('유연한')로 변화했다.

러시아어의 모음은 강세의 유무와 인접한 자음의 구개음화 여부에 따라 상당한 변이음을 보인다. 특히 강세가 없는 음절에서는 모음 구분이 줄어드는 모음 축약 현상이 나타난다. 강세가 없는 위치에서는 경자음 뒤에서는 세 개(/a, i, u/ 또는 /a, ɨ, u/), 연자음 뒤에서는 두 개(/i, u/)의 음소만이 구별되어 발음된다. 구체적으로 강세 없는 /a/와 /o/는 모두 [ɐ] 또는 [ə]와 유사한 소리로 약화되어 /a/로 합류하는 경향을 보이며, 강세 없는 /e/와 /i/는 [ɪ] 또는 [ɨ̞]와 유사한 소리로 약화되어 /i/(또는 /ɨ/)로 합류하는 경향을 보인다. 연자음 뒤에서는 /u/를 제외한 나머지 네 모음 음소(/a, o, e, i/)가 모두 [ɪ]와 유사한 소리로 합류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발음상의 변화는 대부분 철자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러시아어 모음의 변이음
음소환경철자강세비강세
/a/V, CVаä
ɑ
ə, ɐ
CʲV(C)
CʲVCʲ
яä
æ
ɪ
/o/V, CVоə, ɐ
CʲVёɵ̞ɪ*
/e/V, CVэ, еɛɨ̞
CʲVеeɪ
/u/V, CVуuʊ
CʲV(C)
CʲVCʲ
юu
ʉ
ʊ
ʊ̈
/ɨ/†V, CVы, иɨɨ̞
/i/†V, CʲVиiɪ
* 철자상으로는 е로 쓰인다.
† 별개의 음소인지는 논쟁 중에 있다.





각 모음 음소의 주요 변이음은 다음과 같다.

  • /i/: 선행 자음이 경음일 경우 후설화된 [ɨ]로 실현된다. Padgett (2001)의 포먼트 연구는 이 [ɨ]가 선행 자음의 연구개음화로부터 약간 이중모음화된 것으로 특징짓는 것이 더 낫다고 보았다.[3] 연음 뒤에서는 전설모음 [i]로 실현되며, 특히 연음 사이에서는 더 높은 [i̝]로 발음되기도 한다 (예: пить|피치rus [pʲi̝tʲ] '마시다'). 강세가 없을 때는 더 낮고 중앙 쪽으로 이동한 [ɪ] 또는 [ɨ̞]로 약화된다. 설단음이나 연구개음 앞뒤에서는 [ɨ̟]로 전설화되며, 순음과 /ɫ/ 뒤에서는 [ɨ̠]로 후퇴하거나 [ɯ̟ɨ̟]로 약간 이중모음화되기도 한다 (예: плыть|플리치rus [pɫɨ̠tʲ] '뜨다').
  • /e/: 고유어에서는 주로 연자음 뒤나 어두에 나타나며, [ɛ] 또는 [e]와 같은 소리로 실현된다. 연자음 뒤에서는 [ɛ̝]가 되고, 뒤따르는 연자음은 이를 [e]로 올린다. 단어 시작이나 경음 사이에서는 [ɛ]가 된다. 선행 경음 뒤에서는 [ɛ̠] 또는 [e̠]로 후퇴한다 (예: жест|제스트rus [ʐɛ̠st] '제스처', цель|첼rus [tse̠lʲ] '목표'). 외래어에서는 경자음 뒤에 나타나기도 하는데 (예: отель|아뗄rus [ʌˈtelʲ] '호텔'), 이 경우에도 시간이 지나면서 연자음 뒤의 발음으로 바뀌기도 한다 (예: шофёр|샤표르rus [ʂʌˈfʲɵr] '운전사', 20세기 초 발음은 [ʂoˈfɛr][4]). 강세가 없을 때는 /i/와 합류하는 경향이 있다 ([ɨ̞] 또는 [ɪ]).
  • /a/: 기본적인 발음은 중설 저모음 [ä]이다. 연자음 사이에서는 전설화된 [æ]로 실현된다 (예: пять|퍄치rus [pʲætʲ] '다섯'). 연자음 뒤가 아니고 /ɫ/ 앞에서는 후설화된 [ɑ̟]로 실현된다 (예: палка|팔카rus [ˈpɑ̟ɫkə] '막대기'). 강세가 없을 때는 [ɐ] 또는 [ə]로 약화된다.
  • /o/: 대부분의 화자에게는 중모음 [o̞]이지만, 일부 화자에게는 더 열린 [ɔ]로 발음될 수 있다. 연자음 뒤에서는 중설화되고 상승하여 [ɵ̞]가 된다 (예: тётя|툐탸rus [ˈtʲɵtʲə] '이모'). 강세가 없을 때는 /a/와 합류하여 [ɐ] 또는 [ə]로 약화된다.
  • /u/: 기본적인 발음은 후설 고모음 [u]이다. 연자음 사이에서는 중설화된 [ʉ]로 실현된다 (예: чуть|추치rus [tɕʉtʲ] '가까스로'). 강세가 없을 때는 약간 낮아진 [ʊ] 또는 [ʉ̞]로 약화된다.

2. 2. 모음 변이음

러시아어의 모음은 강세의 유무와 인접한 자음구개음화 여부에 따라 상당한 변이음을 보인다.[3] 강세를 받지 않는 위치에서는 모음 구분이 줄어들어, 경자음(비구개음화 자음) 뒤에서는 세 개의 음소(/a, i, u/ 또는 /a, ɨ, u/)만 구별되고, 연자음(구개음화 자음) 뒤에서는 두 개의 음소(/i, u/)만 구별된다.

특히 강세 없는 /o/와 /a/는 /a/ 계열 소리로 합쳐지는데, 이를 아카니예( а́канье|rus )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강세 없는 /e/와 /i/는 /i/ 계열 소리로 합쳐지며, 이를 이카니예( и́канье|rus )라고 한다. 또한 단어 끝을 제외하고 연자음 뒤에서는 강세 없는 네 모음(/a, o, e, i/)이 모두 /i/ 계열 소리로 합류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모음 축약 현상은 러시아어 철자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다음은 각 모음 음소의 주요 변이음이다.

러시아어 모음의 변이음[1][2]
음소환경철자강세비강세
/a/경자음 뒤 또는 어두а[ä]
[ɑ]
[ə], [ɐ]
연자음 뒤я[ä]
[æ]
[ɪ]
/o/경자음 뒤 또는 어두о[o̞][ə], [ɐ]
연자음 뒤ё[ɵ̞][ɪ]*
/e/경자음 뒤 또는 어두э, е[ɛ][ɨ̞]
연자음 뒤е[e][ɪ]
/u/경자음 뒤 또는 어두у[u][ʊ]
연자음 뒤ю[u]
[ʉ]
[ʊ]
[ʊ̈]
/ɨ/†경자음 뒤ы, и[ɨ][ɨ̞]
/i/†연자음 뒤 또는 어두и[i][ɪ]
* 철자상으로는 е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 /ɨ/와 /i/가 별개의 음소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일반적으로는 /i/의 변이음으로 본다.


  • /i/ ([i], [ɨ]): 선행 자음이 경음일 때 /i/는 후설모음화하여 [ɨ]로 실현된다. (예: жить|rus [ʐɨtʲ] '살다'). 강세를 받지 않으면 근고모음이 되어, 경음 뒤에서는 [ɨ̞], 그 외 환경에서는 [ɪ]가 된다. 연자음 사이에서는 강세 유무와 관계없이 [i̝]로 상승한다 (예: пить|rus [pʲi̝tʲ] '마시다'). 혀끝소리나 혓바닥소리 자음 앞뒤에서는 [ɨ̟]로 전설화되고, 순음과 /l/ 뒤에서는 [ɨ̠]로 후설화되며 [ɯ̟ɨ̟]처럼 약한 이중모음으로 발음되기도 한다 (예: плыть|rus [plɨ̠tʲ] '헤엄치다').

  • /e/ ([e], [ɛ]): 고유어에서는 주로 짝이 없는 자음(권설음 /ʂ, ʐ, ɕː/ 와 치경 파찰음 /ts/) 뒤나 연자음 뒤에 나타난다. 연자음 뒤에서는 [e̞] 또는 [ɛ̝]로 발음되며, 뒤따르는 연자음 앞에서 [e]로 상승하기도 한다. 어두나 경자음 사이에서는 [ɛ]로 발음된다. 선행 경자음은 /e/를 후퇴시켜 [ɛ̠] 또는 [e̠]가 되게 한다 (예: жест|rus [ʐɛ̠st] '제스처', цель|rus [tse̠lʲ] '목표'). 다른 언어에서 온 차용어에서는 경자음 뒤에 /e/가 오는 경우가 있으며, 원래 발음([ɛ])이 유지되기도 한다 (예: отель|rus [ɐˈtɛlʲ] '호텔').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연자음화된 발음으로 바뀌기도 한다 (예: шофёр|rus [ʂɐˈfʲɵr] '운전사').

  • /a/ ([a], [æ]): 연자음 사이에서는 [æ]로 전설화된다 (예: пять|rus [pʲætʲ] '다섯'). 연자음 뒤가 아니면서 /l/ 앞에서는 [ɑ̟]로 후설화된다 (예: палка|rus [ˈpɑ̟lkə] '막대기').

  • /o/ ([o], [ɵ]): 대부분의 화자는 [o̞]로 발음하지만, 일부는 더 낮은 [ɔ]로 발음하기도 한다. 연자음 뒤에서는 [ɵ̞] 또는 [ɵ]로 중설화되고 상승한다 (예: тётя|rus [ˈtʲɵtʲə] '이모, 고모').

  • /u/ ([u], [ʉ]): 다른 후설 모음처럼 연자음 사이에서는 [ʉ]로 중설화된다 (예: чуть|rus [t͡ɕʉtʲ] '가까스로, 거의'). 강세를 받지 않으면 근고모음이 되어, 연자음 사이에서는 [ʉ̞], 그 외 환경에서는 [ʊ]로 발음된다.


3. 자음

러시아어의 자음 체계는 여러 특징을 가지며, 특히 대부분의 자음이 경음(硬音, non-palatalized)과 연음(軟音, palatalized)의 쌍으로 존재한다는 점이 두드러진다.[20] 연음은 자음 발음 시 혀의 중간 부분이 경구개 쪽으로 올라가는 구개음화를 동반하는 소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음과 연음의 대립은 러시아어의 음소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데 기여한다.[40]

러시아어 자음은 조음 위치, 조음 방법, 유성음/무성음 여부, 그리고 앞서 언급한 경음/연음 대립에 따라 분류된다. 자세한 자음 목록과 분류는 자음 음소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러시아어 자음은 특정 환경에서 소리가 변하는 다양한 음운 현상을 보인다. 대표적으로 단어 끝에서 유성 자음이 무성 자음으로 변하는 종성 무성음화 현상[41]과, 특정 모음 앞에서 자음이 연음으로 발음되는 연음화 현상[20] 등이 있다. 이러한 음운 규칙들은 러시아어 발음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3. 1. 자음 음소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는 러시아어의 모음 음소, 모음 축약, 이중 모음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요청된 섹션 제목(`section-title`)인 "자음 음소"에 해당하는 내용은 원본 소스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주어진 소스만으로는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3. 2. 자음의 유성음화 및 무성음화

러시아어의 유성 자음(/b/, /bʲ/, /d/, /dʲ/, /ɡ/, /v/, /vʲ/, /z/, /zʲ/, /ʐ/, /ʑː/)은 단어 끝에서 무성음화되는 경향이 있다. 즉, 단어의 마지막에 오는 유성 자음은 그에 대응하는 무성 자음으로 발음된다. 다만, 바로 뒤에 오는 단어가 유성 파열음으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예외가 될 수 있다.[41] 각 유성 자음과 대응하는 무성 자음은 아래 표와 같다.

자음과 유성음/무성음 대응
유성음무성음
Б /b/П /p/
В /v/Ф /f/
Г /g/К /k/
Д /d/Т /t/
Ж /ʐ/Ш /ʂ/
З /z/С /s/
Л /l/
М /m/
Н /n/
Р /r/
Х /x/
Ц /ts/
Ч /tɕ/
Щ /ɕː/
Й /j/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단어에서 어말 무성음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 рассказru (이야기)는 마지막 자음 /z/가 무성음화되어 расска'''с''' [rɐˈskas]로 발음된다.
  • ножru (칼)은 마지막 자음 /ʐ/가 무성음화되어 но'''ш''' [noʂ]로 발음된다.
  • Ивановru (이바노프, 성씨)는 마지막 자음 /v/가 무성음화되어 Ивано'''ф''' [ɪvɐˈnof]로 발음된다.


특별한 경우로, Гru(/g/)는 일부 단어의 끝에서 /k/가 아닌 무성음 [x]로 발음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богru ('신')은 [ˈbox]로 발음된다. 이는 일부 종교 관련 단어에서 주변적으로 사용되는 유성 연구개 마찰음 /ɣ/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3. 3. 자음의 연음화 (구개음화)

러시아어 자음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경음(硬音, non-palatalized)과 연음(軟音, palatalized)의 대립이다. 연음은 자음 발음 시 혀의 중간 부분이 경구개(입천장의 단단한 부분) 쪽으로 올라가는 구개음화(palatalization) 또는 설경음화(舌硬口蓋音化)를 동반하는 소리를 말하며[20], 국제음성기호(IPA)에서는 자음 기호 뒤에 위 첨자 ʲ를 붙여 표시한다.

대부분의 러시아어 자음 음소는 이러한 경음과 연음의 쌍으로 존재한다 (예: /p/ - /pʲ/, /b/ - /bʲ/, /t/ - /tʲ/ 등).[20] 하지만 일부 자음은 항상 경음이거나 항상 연음이다. /ts/(ц), /ʂ/(ш), /ʐ/(ж)는 항상 경음이며[25][26][27], /t͡ɕ/(ч), /ɕː/(щ), /j/(й)는 항상 연음이다.[27]

자음의 연음화는 특정 환경에서 규칙적으로 나타난다. 특히 전설 모음인 /i/나 /e/ 앞에서 자음이 연음화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연구개 자음 /k/, /ɡ/, /x/는 전설 모음 앞에서 연음 /kʲ/, /ɡʲ/, /xʲ/로 실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령, 형용사 короткий ([kʌˈrotkʲɪj], '짧은')는 /kʲ/와 같이 마지막 자음이 연음화된다.[20]

또한, 형태소 경계에서도 연음화에 따른 자음 교체가 관찰된다. 예를 들어, 형용사 гото́в ([ɡʌˈtof], '준비된', 남성 단수)의 마지막 자음 /v/는 경음이지만, 관련 동사 гото́вить ([ɡʌˈtovʲɪtʲ], '준비하다')에서는 뒤따르는 모음 /i/의 영향으로 연음 /vʲ/로 교체된다. 이는 모음 /i/가 앞선 자음을 연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처럼 자음의 연음화는 러시아어의 음운 규칙과 형태론적 변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음과 경음의 대립은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음소적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40]

4. 자음군

슬라브어 계열인 러시아어는 다른 많은 언어보다 자음에 대한 음운 제약이 적어[13] 영어 사용자 등이 발음하기 어려운 복잡한 자음군을 허용한다. 이는 특히 음절 시작 부분에서 두드러지는데, 러시아어 화자는 파찰음파열음 사이에서 음향적 구분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제약 완화는 형태론적 수준에서 시작된다. 네 개의 자음군을 포함하는 두 개의 형태소(встрет-/встреч- '만나다' 와 чёрств-/черств- '딱딱한')를 제외하면, 고유 러시아어 형태소는 최대 세 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자음군을 가질 수 있다.

3개의 분절 자음으로 이루어진 자음군
유형러시아어IPA번역
CCLскрыва́тьru'숨기다'
CCNмгнове́ниеru'(순간)'
CCC*стволru'나무 줄기'
LCLверблю́дru'낙타'
LCCто́лстыйru'두꺼운'


  • 를 대신 발음하는 화자의 경우, общийru ('공통의')와 같은 단어도 이 유형의 자음군을 구성한다.


2개의 분절 자음으로 이루어진 자음군
유형러시아어IPA번역
CCкостьru'뼈'
LCсмертьru'죽음'
CLслепо́йru'눈먼'
LLго́рлоru'목구멍'
CJстатья́ru'기사'
LJрья́ныйru'열렬한'



만약 가 음절 끝(코다) 위치의 자음으로 간주된다면, айва́ru ('모과')와 같은 단어는 반모음+자음군을 포함한다.

접사 역시 자음군을 만들 수 있다. 가장 잘 알려진 접두사 중 일부인 вз-/вс- ()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에 붙을 때 단어 시작 부분에 긴 자음군을 생성한다(예: + → вспы́шкаru '번쩍임'). 그러나 음절 시작 부분에서는 최대 4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자음군 제한이 유지된다.

4개의 분절 자음으로 이루어진 자음군
러시아어IPA번역
(емуru) взбрелоru (в головуru)'(그는) (생각을) 떠올렸다'
взглядru'시선'
взгромоздитьсяru'기어오르다'
вздрогнутьru'움찔하다'
всклокоченныйru'헝클어진'
вскрытьru'밀봉을 풀다'
всплескru'튀김'
вспрыгнутьru'뛰어오르다'
встлетьru'연기가 나기 시작하다'
встречатьru'만나다'
всхлипru'흐느낌'
всхрапыватьru'코를 골다'



러시아어에서 전치사는 약어처럼 기능하기 때문에, 전치사(특히 자음 하나로만 이루어진 세 개: к, с, в)와 뒤따르는 단어로 구성된 구문은 단일 문법적 단어처럼 작용하는 음운 단어를 형성한다. 이는 또는 로 시작하지 않는 4자음 초두 자음군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в мгнове́ниеru ('순식간에') 구는 로 발음된다.

음절 코다에서 모음을 포함하지 않는 접미사는 음절의 마지막 자음군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예: Ноя́брьскru '노야브르스크' 도시 + → ), 이론적으로 최대 7개의 자음까지 가능하다: *мо́нстрствru ('몬스터십의'). 일반적으로 이러한 연속 자음 사이에는 단어 경계에서 파열음의 가청 해제가 있으며, 동음 이음 자음의 자음군은 주요 예외이다.

3개 이상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자음군은 흔히 간소화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자음 중 하나를 생략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격식 없는 발음에서 그렇다.[11] 모든 단어 시작 부분의 4자음군은 또는 로 시작하며, 그 뒤에 파열음(또는 의 경우 마찰음)과 유음이 따른다.

러시아어에서 자음군 단순화는 탈쌍자음화, 생략, 이화 및 약모음 삽입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는 расще́линаru ('틈')과 같이 로 발음된다. 또한 발음과 철자 간의 불일치로 나타나는 몇 가지 고립된 자음군 축약 패턴이 있으며, 이는 역사적 단순화의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경음 파열음은 치경 지속음과 치경 비음 또는 측음 사이에서 생략된다: ле́с'''т'''ныйru '아첨하는'(ле́с'''т'''ьru '아첨'에서). 다른 예는 다음과 같다.

음운 변화단어의미발음비고
>чу́вствоru'느낌'( 아님)
>со́лнцеru'태양'( 아님)
>се́рдцеru'마음'( 아님)
>сердчи́шкоru마음(애칭)( 아님)
>шотла́ндскийru'스코틀랜드의'( 아님)
>маркси́стскийru마르크스주의의(형용사)( 아님)



비교: со́лнечныйru '태양의, 햇볕이 잘 드는', серде́чныйru '마음의(형용사), 다정한', Шотла́ндияru '스코틀랜드', маркси́стru '마르크스주의자'(사람).

자음군의 단순화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교양 있는 스타일의 단어와 고유 명사는 패턴에 맞더라도 일반적으로 모든 자음으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단어 голла́ндкаru는 '네덜란드식 오븐'(러시아에서 인기 있는 오븐 유형)의 의미로는 와 같이 단순화된 방식으로 발음되고, '네덜란드 여성'의 의미로는 와 같이 전체 형태로 발음된다(더 이국적인 의미). 철자 조합 вствru는 단어 здра́вствуй(те)ru '안녕', чу́вствоru '느낌'(현대 언어에서는 вru가 발음되는 관련 단어가 없으므로, 철자의 첫 번째 вru는 역사적 이유로만 존재함), безмо́лвствоватьru '침묵하다', 및 관련 단어에서는 로 발음되며, 그렇지 않으면 로 발음된다: баловство́ru '장난'.

특정 경우에, 이러한 생략은 동음이의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ко́стныйru ('뼈가 있는')와 ко́сныйru ('뻣뻣한')는 둘 다 로 발음된다.

자음군을 처리하는 또 다른 방법은 삽입 모음 삽입(철자와 발음 모두에서)이며, 일반적으로 경자음으로 끝나는 대부분의 전치사 및 접두사 뒤에 оru가 삽입된다. 여기에는 역사적으로 동기가 부여된 사용법(역사적 초단모음 ъru에서)과 현대적 외삽의 경우가 모두 포함된다. 삽입 оru가 의무적인지, 선택적인지, 금지되는지에 대한 엄격한 제한은 없다. 삽입 оru의 가장 일반적인 경우 중 하나는 형태소 최종 경자음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자음으로 시작하는 자음군 사이이다. 예를 들어 со среды́ru '수요일부터' ( + → , *с среды가 아님), ототру́ru '나는 문지를 것이다' ( + → , *оттру가 아님). 내부사 оru (연자음 뒤에는 еru로 표기)는 복합어에서도 사용된다: пищево́дru '식도'(문자 그대로 음식 통로) ( + → ).

5. 강세

러시아어의 강세는 음소론적이며 예측하기 어렵다. 강세는 단어 내 어느 음절에나 올 수 있고, 형태가 비슷하거나 관련된 단어 사이에서도 위치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표에서 숫자 50(пятьдеся́тru)과 60(шестьдеся́тru)은 70(се́мьдесятru)이나 80(во́семьдесятru)과 구조가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강세가 마지막 음절로 이동한다.

숫자 단어의 강세 위치 예시
단어숫자
де́сятьru10
два́дцатьru20
три́дцатьru30
со́рокru40
пятьдеся́тru50
шестьдеся́тru60
се́мьдесятru70
во́семьдесятru80
девяно́стоru90



강세 위치만으로 단어의 의미가 구별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му́каru는 '시련, 고통'을 의미하지만, мука́ru는 '밀가루'를 의미한다. 또한, 단어가 굴절하면서 강세 위치가 바뀌기도 한다. 예를 들어, '집'을 뜻하는 단어 домru의 소유격 단수형 또는 '집에서'라는 의미의 부사형은 до́маru이지만, 복수형은 дома́ru이다.

단어 내 강세의 위치는 단어를 이루는 형태소들의 상호작용에 따라 결정된다. 각 형태소는 반드시 강세를 받거나, 받지 않거나, 가변적으로 강세를 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 단어에는 하나의 강세 음절만 존재한다. 하지만 복합어의 경우 여러 개의 강세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마지막 강세가 주 강세가 된다. 예를 들어 моро́зоусто́йчивыйru('내한성')와 같은 단어가 있다.

음운론적으로 강세가 있는 음절은 모음 축약이 일어나지 않으며, 강세가 없는 음절보다 발음 지속 시간이 약간 더 길다. 발음의 강도 역시 강세와 관련이 있지만, 이는 문장 전체의 운율적 강세와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고저 악센트는 강세를 나타내는 데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며, 주로 운율적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러시아어 화자는 성조가 중요한 언어에서 강세 음절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강세는 음성적 단어라는 음운론적 단위를 정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음성적 단어는 하나의 핵심 강세를 중심으로 묶인 형태소들의 연속체이며, 여러 개의 어휘를 포함할 수 있다.[44]

6. 철자와 발음

러시아어 철자는 실제 발음과 항상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몇 가지 주요한 불일치 사례는 다음과 같다.


  • 'г' 발음 변화: 소유격 어미나 대명사 '그'를 나타내는 егоru ('그의/그를')와 같은 단어에서 철자 'г'는 역사적으로 /v/ 발음으로 변했지만, 현대 철자법에는 이 변화가 반영되지 않았다. 형용사 활용 접미사 '-ого'와 '-его' 역시 마찬가지이다. 또한, лёгкийru ('쉬운'), мягкийru ('부드러운')과 같은 일부 단어의 어근에서 철자 'г'는 /x/ 소리를 나타낸다.
  • 묵음 자음: 일부 단어에는 더 이상 발음되지 않는 자음이 철자에 남아 있다. 예를 들어, солнцеru ('태양')는 [ˈsontsɨ]로 발음되어 'л' 소리가 나지 않는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발음 규칙이 존재한다.

  • /j/ 생략: 모음과 /i/ 사이(어미 경계 제외, /i/와 합쳐진 강세 없는 모음 포함)에서는 /j/ 소리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аистru ('황새')는 [ˈa.ɪst]로, делаетru ('한다')는 [ˈdʲeɫəɪt]로 발음된다.
  • 연구개음화 및 입술화:
  • /i/는 앞에 오는 경자음을 연구개음화시킨다. 예: тыru ('너' 단수) [tˠɨ].
  • /o/와 /u/는 앞에 오는 경자음을 연구개음화하고 입술화하며, 연자음은 입술화한다. 예: бокru ('옆면') [bˠʷok], нёсru ('(그가) 운반했다') [nʲʷɵs].
  • /o/ 발음: 강세가 있는 /o/는 특히 단어의 시작이나 끝에서 이중 모음 [ʊ̯o] 또는 삼중 모음 [ʊ̯ɔʌ̯]처럼 발음될 수 있으며, 모음 시작 부분에서 입술 둥글림이 점차 약해지는 특징을 보인다.[45]
  • 구개 접근음 발생: 특정 연자음과 후설 모음 사이에는 약한 구개음 접근음(/j/)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ляжкаru ('넓적다리')는 [ˈlʲi̯aʂkə]와 같이 발음될 수 있다.

7. 참고 문헌


  • 아게엔코, F.L.; 자르바, M.V. (편집.) (1993). ''Словарь ударений русского языка''. 모스크바: 러시아어. pp. 9–31. ISBN 5-200-01127-2.
  • 애쉬비, 패트리샤 (2011). ''음성학 이해(Understanding Phonetics)''. 루틀리지 (언어 이해(Understanding Language) 시리즈). ISBN 978-0340928271.
  • 아바네소프, R.I. (1975) [1956]. ''Фонетика современного русского литературного языка'' [현대 표준 러시아어 음성학(Phonetics of modern standard Russian)]. 라이프치히: 독일민주공화국 중앙 골동품점(Zentralantiquariat der DDR).
  • 아바네소프, R.I. (1985). "Сведения о произношении и ударении [발음 및 강세에 대한 정보](Information on pronunciation and stress)". In 보루노바, C.N.; 보론초바, V.L.; 예스'코바, N.A. (편집.). ''Орфоэп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Произношение. Ударение. Грамматические формы'' [러시아어 정음 사전. 발음. 강세. 문법 형태(Orthoep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language. Pronunciation. Stress. Grammatical forms)] (러시아어) 2판. pp. 659–684.
  • 바르후다로프, S. G; 프로첸코, I. F; 스보르초바, L. I (편집.) (1987). ''Орфограф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러시아어 철자 사전(Orthographic Russian dictionary)] (러시아어) 11판.
  • 바르후다로프, S. G; 크류츠코프, S.E. (1960). ''러시아어 교과서, 1권. 음성학과 형태론. 중학교 5-6학년을 위해(Учебник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ч. 1. Фонетика и морфология. Для 5-го и 6-го классов средней школы)'' 7판. 모스크바.
  • 바르후다로프, S. G; 크류츠코프, S.E. (1961). ''러시아어 교과서, 1권. 음성학과 형태론. 중학교 5-6학년을 위해(Учебник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ч. 1. Фонетика и морфология. Для 5-го и 6-го классов средней школы)'' 8판. 모스크바.
  • 비켈, 발타자르; 니콜스, 요한나 (2007). "3장: 굴절 형태론(Inflectional morphology)". In 쇼펜, 티모시 (편집.). ''언어 유형론과 구문론적 설명. 제3권: 문법 범주와 어휘(Language Typology and Syntactic Description. Vol. III: Grammatical categories and the lexicon)'' 2판. 런던: 루틀리지.
  • 비드웰, 찰스 (1962). "러시아어의 대체 음소 분석(An Alternate Phonemic Analysis of Russian)". ''슬라브 및 동유럽 저널(The Slavic and East European Journal)''. 미국 슬라브 및 동유럽 언어 교사 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Teachers of Slavic and East European Languages). 6 (2): 125–129. doi:10.2307/3086096. JSTOR 3086096.
  • 보루노바, C.N.; 보론초바, V.L.; 예스'코바, N.A. (편집.) (1983). ''Орфоэп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Произношение. Ударение. Грамматические формы'' [러시아어 정음 사전. 발음. 강세. 문법 형태(Orthoep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language. Pronunciation. Stress. Grammatical forms)] (러시아어) 2판. pp. 659–684.
  • 츄, 피터 A. (2003). ''러시아어의 계산 음운론(A computational phonology of Russian)''. 유니버설 퍼블리셔스.
  • 흐라바쉬츠, A.; 윈, M.; 린, C. Y.; 이르사르디, W. J. (2014). "영어, 만다린어 및 러시아어 사용자의 단어 강세 인식에 대한 음향 단서(Acoustic Cues to Perception of Word Stress by English, Mandarin, and Russian Speakers)". ''언어, 언어 및 청각 연구 저널(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7 (4): 1468–79. doi:10.1044/2014_JSLHR-L-13-0279. PMC 5503100. PMID 24686836.
  • 크로스화이트, 캐서린 마가렛 (2000). "러시아어 모음 감소: 표준, 방언 및 '이질적' 패턴의 통합 설명(Vowel Reduction in Russian: A Unified Accountof Standard, Dialectal, and 'Dissimilative' Patterns)". ''로체스터 대학교 언어 과학 연구 논문(University of Rochester Working Papers in the Language Sciences)''. 1 (1): 107–172. [https://web.archive.org/web/20120206015223/http://www.bcs.rochester.edu/cls/s2000n1/crosswhite.pdf Archived] 2012-02-06 at the 웨이백 머신.
  • 쿠버리, 폴 (2002). ''러시아어: 언어학적 소개(Russian: A Linguistic Introduction)''.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521796415. [https://books.google.com/books?id=yOGzAyN3V88C&pg=PA1 Google Books].
  • 데이비드슨, 리사; 룬, 케빈 (2008). "러시아어의 자음 시퀀스를 구별하기 위한 지속 시간 상관 관계(Durational correlates for differentiating consonant sequences in Russian)". ''국제 음성학회 저널(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38 (2): 137–165. doi:10.1017/S0025100308003447. S2CID 1105370.
  • 도브로도모프, I. G.; 이즈메스트'에바, I. A. (2002). "러시아어에서 법률에 어긋나는 음소 /ʔ/(Беззаконная фонема /ʔ/ в русском языке.)". ''음성학 문제(Проблемы фонетики)''. IV: 36–52.
  • 도브로도모프, I. G.; 이즈메스트'에바, I. A. (2009). "단축 모음의 붕괴 후 단어 끝의 변화에서 후두 폐쇄음 역할(Роль гортанного смычного согласного в изменении конца слова после падения редуцированных гласных)" [단축 모음의 붕괴 후 단어 끝 변화에서 후두 폐쇄음 역할(Guttural obstruent role in the word end alternation after reduced vowels fall)] (PDF).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사마라 과학 센터의 소식(Известия Самарского научного центра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11, 4 (4): 1001–1005.
  • 폴레예프스키, Z (1962). "[러시아어의 대체 음소 분석]: 편집자 의견([An Alternate Phonemic Analysis of Russian]: Editorial comment)". ''슬라브 및 동유럽 저널(The Slavic and East European Journal)''. 6 (2): 129–130. doi:10.2307/3086097. JSTOR 3086097.
  • 모리스 할레 (1959). ''러시아어의 음성 패턴(Sound Pattern of Russian)''. MIT 출판부.
  • 하만, 실케 (2004). "슬라브어의 권설 마찰음(Retroflex fricatives in Slavic languages)". ''국제 음성학회 저널(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34 (1): 53–67. doi:10.1017/S0025100304001604. S2CID 2224095. [https://web.archive.org/web/20150414230437/http://www.fon.hum.uva.nl/silke/articles/Hamann%202004.pdf Archived] 2015-04-14 at the 웨이백 머신.
  • 존스, 다니엘; 트로피모프, M. V. (1923). ''러시아어 발음(The pronunciation of Russian)''.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https://books.google.com/books?id=Txw9AAAAIAAJ&pg=PA1 Google Books].
  • 존스, 다니엘; 워드, 데니스 (1969). ''러시아어의 음성학(The Phonetics of Russian)''.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521153003. [https://books.google.com/books?id=A9rrVMQ-PxsC&pg=PA1 Google Books].
  • 코네츠나, 할리나; 자바도프스키, 비톨드 (1956). ''러시아어 음소의 방사선 사진(Obrazy rentgenograficzne głosek rosyjskich)''. 바르샤바: Państwowe Wydawnictwo Naukowe.
  • 크레흐, 에바 마리아; 스톡, 에버하르트; 히르슈펠트, 우르술라; 안데르스, 루츠-크리스티안 (2009). "7.3.13 러시아어". ''독일어 발음 사전(Deutsches Aussprachewörterbuch)''. 베를린, 뉴욕: 발터 드 그루이터. ISBN 978-3-11-018202-6.
  • 쿠즈네초프, V.V.; 리자코프, M.V. (편집.) (2007). ''학생을 위한 보편적인 참고 서적(Универсальный справочник школьника)'' [학생을 위한 보편적인 참고 서적(Pupil's universal reference book)]. 모스크바. ISBN 978-5-373-00858-7.
  • 피터 레이디포지드; 이언 매디슨 (1996). ''세계 언어의 소리(The Sounds of the World's Languages)''. 블랙웰 출판. ISBN 0-631-19815-6.
  • 라이트너, 테오도르 M. (1972). ''음운론 이론의 문제, I: 러시아어 음운론 및 터키어 음운론(Problems in the Theory of Phonology, I: Russian phonology and Turkish phonology)''. 에드먼턴: 언어 연구, inc.
  • 마티아센, 테르예 (1996). ''리투아니아어 간략 문법(A Short Grammar of Lithuanian)''. 슬라비카 출판사, Inc. ISBN 978-0893572679.
  • 마티첸코, A.S. (1950). ''러시아어 문법. 제1부. 음성학, 형태론. 비러시아어 학교 8학년 및 9학년을 위한 교과서(Грамматика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Часть первая. Фонетика, морфология. Учебник для VIII и IX классов нерусских школ.)'' [러시아어 문법. 제1부. 음성학, 형태론. 비러시아어 학교 8학년 및 9학년을 위한 교과서(Russian grammar. Part 1. Phonetics, morphology. Textbook for the 8th and 9th grades of non-Russian schools)] 2판. 모스크바.
  • 오스타펜코, 올레샤 (2005). "최적의 L2 러시아어 음절 시작(The Optimal L2 Russian Syllable Onset)" (PDF). ''LSO 언어학 연구 논문(LSO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5: WIGL 2005 회의록: 140–151. [https://web.archive.org/web/20100610114730/http://vanhise.lss.wisc.edu/ling/files/ling_old_web/lso/wpl/5.1/LSOWP5.1-11-Ostapenko.pdf Archived] 2010-06-10 at the 웨이백 머신. 2012년 5월 4일에 확인함.
  • 오제고프, S. I. (1953). ''러시아어 사전(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러시아어 사전(Russian dictionary)].
  • 패짓, 제이 (2001). "대조 분산 및 러시아어 구개음화(Contrast Dispersion and Russian Palatalization)". In 흄, 엘리자베스; 존슨, 키스 (편집.). ''음운론에서 음성 지각의 역할(The role of speech perception in phonology)''. 학술 출판부. pp. 187–218.
  • 패짓, 제이 (2003a). "러시아어의 대조 및 후비음 전방화(Contrast and Post-Velar Fronting in Russian)". ''자연 언어 및 언어학 이론(Natural Language & Linguistic Theory)''. 21 (1): 39–87. doi:10.1023/A:1021879906505. S2CID 13470826.
  • 패짓, 제이 (2003b). "러시아어의 대조 구개음화의 출현(The Emergence of Contrastive Palatalization in Russian)". In 홀트, D. 에릭 (편집.). ''최적성 이론과 언어 변화(Optimality Theory and Language Change)''.
  • 패짓, 제이; 타빈, 마리야 (2005). "적응 분산 이론과 러시아어의 음운론적 모음 감소(Adaptive Dispersion Theory and Phonological Vowel Reduction in Russian)" (PDF). ''음성학(Phonetica)''. 62 (1): 14–54. doi:10.1159/000087223. PMID 16116302. S2CID 2551922. [https://web.archive.org/web/20070927054247/http://people.ucsc.edu/~padgett/locker/vreductpaper.pdf Archived] 2007-09-27 at the 웨이백 머신. 2007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프로크터, 마이클 (2009년 12월). ''음운론적 계열의 제스처 특성: 유음(Gestural characterization of a phonological class: the liquids)'' (PDF) (논문). 예일 대학교.
  • 제르지 루바흐 (2000). "러시아어의 전후 전환(Backness switch in Russian)". ''음운론(Phonology)''. 17 (1): 39–64. doi:10.1017/s0952675700003821. S2CID 233319763.
  • 쉔커, 알렉산더 M. (2002). "원 슬라브어(Proto-Slavonic)". In 버나드 컴리; 코벳, 그레빌. G. (편집.). ''슬라브어(The Slavonic Languages)''. 런던: 루틀리지. pp. 60–124. ISBN 0-415-28078-8. [https://books.google.com/books?id=uRF9Yiso1OIC&pg=PA60 Google Books].
  • 샤피로, 마이클 (1993). "러시아어 비구별 유성음: 현황 점검(Russian Non-Distinctive Voicing: A Stocktaking)". ''러시아어 언어학(Russian Linguistics)''. 17 (1): 1–14. doi:10.1007/bf01839412. S2CID 170999345.
  • 레프 슈체르바 (편집.) (1950). ''러시아어 문법. 제1부. 음성학 및 형태론. 7년제 학교 및 중등학교 5학년 및 6학년을 위한 교과서(Грамматика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Часть I. Фонетика и морфология. Учебник для 5-го и 6-го классов семилетней и средней школы)'' [러시아어 문법. 제1부. 음성학 및 형태론. 7년제 학교 및 중등학교 5학년 및 6학년을 위한 교과서(Russian grammar. Part 1. Phonetics and morphology. Textbook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s of seven-year school and high school)] (러시아어) 11판. 모스크바.
  • 스칼로주브, 라리사 (1963). ''러시아 문어의 자음 음소의 팔라토그램 및 렌트겐그램(Palatogrammy i Rentgenogrammy Soglasnyx Fonem Russkogo Literaturnogo Jazyka)''. 키예프 대학교 출판사.
  • 스탄키에비치, E. (1962). "[러시아어의 대체 음소 분석]: 편집자 의견([An Alternate Phonemic Analysis of Russian]: Editorial comment)". ''슬라브 및 동유럽 저널(The Slavic and East European Journal)''. 미국 슬라브 및 동유럽 언어 교사 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Teachers of Slavic and East European Languages). 6 (2): 131–132. doi:10.2307/3086098. JSTOR 3086098.
  • 팀벌레이크, 앨런 (2004). "소리(Sounds)". ''러시아어의 참조 문법(A Reference Grammar of Russian)''.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521772921. [https://books.google.com/books?id=-VFNWqXxRoMC&pg=PA28 Google Books].
  • 토포로프, V. N. (1971). "현대 러시아어에서 단어 끝의 분포 구조에 관하여(О дистрибутивных структурах конца слова в современном русском языке)". In 비노그라도프, V. V. (편집.). ''음성학, 음운론, 문법(Фонетика, фонология, грамматика)''. 모스크바.
  • 비노그라도프, V. V. "단어의 역사: 본질(История Слов:Суть)". [http://wordhist.narod.ru/sut.html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야누솨예프스카야, 이레나; 분치치, 다니엘 (2015). "러시아어(Russian)" (PDF). ''국제 음성학회 저널(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45 (2): 221–228. doi:10.1017/S0025100314000395.
  • 자르바, M.V. (1993). "발음 규칙(Правила произношения)" [발음 규칙(Rules of pronunciation)]. In 아게엔코, F.L.; 자르바, M.V. (편집.). ''Словарь ударений русского языка'' (러시아어). 모스크바: 러시아어. pp. 9–31. ISBN 5-200-01127-2.
  • 젬스키, A. M; 스베틀라예프, M. V; 크류츠코프, S. E (1971). ''러시아어. 제1부. 어휘론, 음성학 및 형태론. 교육 대학을 위한 교과서(Русский язык. Часть 1. Лексикология, фонетика и морфология. Учебник для педагогических училищ)'' [러시아어. I. 어휘론, 음성학, 형태론. 교사를 위한 교과서(Russian. I. Lexicography, phonetics, and morphology. Textbook for teachers' colleges)] (러시아어) 11판.
  • 엘리자베스 지가 (2003). "제2언어의 조음 타이밍: 러시아어 및 영어의 증거(Articulatory Timing in a Second Language: Evidence from Russian and English)". ''제2언어 습득 연구(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25: 399–432. doi:10.1017/s0272263103000160. S2CID 5998807.
  • 지가스, 마르제나 (2003). "슬라브어 치찰 마찰음의 음성 및 음운론적 측면(Phonetic and Phonological Aspects of Slavic Sibilant Fricatives)" (PDF). ''ZAS 언어학 논문(ZAS Papers in Linguistics)''. 3: 175–213. doi:10.21248/zaspil.32.2003.191. [https://web.archive.org/web/20171011125931/http://www.zas.gwz-berlin.de/fileadmin/material/ZASPiL_Volltexte/zp32/zaspil32-zygis.pdf Archived] 2017-10-11 at the 웨이백 머신. 2014년 6월 22일에 확인함.

참조

[1] 간행물 Ozhegov 1953, p=10; Barkhudarov, Protchenko, Skvortsova 1987, p=9; Chew 2003, p=61. The traditional name of ы, еры [jɪˈrɨ] yery; since 1961 this name has been replaced from the Russian school practice (compare the 7th and 8th editions of the standard textbook of Russian for 5th and 6th grades: Barkhudarov, Kryuchkov 1960, p=4, and Barkhudarov, Kryuchkov 1961, p=20.
[2] 간행물 See, for example, Shcherba 1950, p=15; Matiychenko 1950, pp=40–41; Zemsky, Svetlayev, Kriuchkov 1971, p=63; Kuznetsov, Ryzhakov 2007, p=6
[3] 간행물 Thus, /ɨ/ is pronounced something like [ɤ̯ɪ], with the first part sounding as an on-glide Padgett 2003b, p=321
[4] 웹사이트 Сегодня не приду http://poetrylibrary[...]
[5] 간행물 Yanushevskaya, Bunčić 2015, p=225
[6] 서적 Современный русский литературный язык. Фонетика, графика, орфография, орфоэпия Москва 2005
[7] 서적 Русское литературное произношение Просвещение
[8] 문서 However, in imperatives ending in -ть- or -дь- plus -ся, the -ть- or -дь- remains soft in the pronunciation: пя́ться [ˈpʲætʲs⁽ʲ⁾ə], imperative of пя́титься [ˈpʲætʲɪt͡sə] 'to move back'.
[9] 서적 A Comprehensive Russian Grammar John Wiley & Sons
[10] 서적 Русское литературное произношение Просвещение
[11] 서적 Русское литературное произношение Просвещение
[12] 서적 Современный русский литературный язык. Фонетика, графика, орфография, орфоэпия Москва 2005
[13] 서적 Современный русский литературный язык. Фонетика, графика, орфография, орфоэпия Москва 2005
[14] 간행물 Avanesov 1975
[15] 서적 Русское литературное произношение Просвещение
[16] 서적 Современный русский литературный язык. Фонетика, графика, орфография, орфоэпия Москва 2005
[17] 문서 Ushakov dictionary 1935
[18] 서적 Русское литературное произношение Просвещение
[19] 서적 Русское литературное произношение Просвещение
[20] 서적 An Ultrasound Investigation of Secondary Velarization in Russian 2014
[21] 간행물 Ashby 2011, p=133
[22] 간행물 Because of the acoustic properties of [u] and [i] that make velarization more noticeable before front vowels and palatalization before back vowels Padgett 2003b argues that the contrast before /i/ is between velarized and plain consonants rather than plain and palatalized.
[23] 간행물 Velarization of Russian labial consonants https://icphs2019.or[...] 2019
[24] 학위논문 A Crosslinguistic Investigation of Palatalization https://escholarship[...] UC San Diego 2007-06-29
[25] 간행물 See dictionaries of Ageenko, Zarva 1993 and Borunova, Vorontsova, Yes'kova 1983.
[26] 간행물 Ageenko, Zarva 1993 and Borunova, Vorontsova, Yes'kova 1983 prescribe the soft pronunciation, the more recent «Словарь трудностей русского произношения» (М. Л. Каленчук, Р. Ф. Касаткина, 2001) states the hard pronunciation as the main variant and the soft pronunciation as admissible but obsolescent.
[27] 간행물 The dictionary Ageenko, Zarva 1993 explicitly says that the nonpalatalized pronunciation /ts/ is an error in such cases.
[28] 간행물 See Avanesov's pronunciation guide in Avanesov 1985, p=669
[29] 간행물 Yanushevskaya, Bunčić 2015, p=224 "The /ʃʲː/ consonant has no voiced counterpart in the system of phonemes. However, in conservative Moscow standard and only in a handful of lexical items the combination /ʒʒ/ may be pronounced with palatalisation, e.g. drožži 'yeast' as [ˈd̪rʊoˑʒʲːɪ] instead of [ˈd̪rʊɔˑʒːɨ], although this realisation is now also somewhat obsolete."
[30] 간행물 Jones, Ward 1969, pp=99 and 160
[31] 간행물 Koneczna, Zawadowski 1956, p=?, cited in Ladefoged, Maddieson 1996, p=187
[32] 간행물 Jones, Ward 1969, p=167
[33] 간행물 Mathiassen 1996, p=23
[34] 간행물 Skalozub 1963, p=?; cited in Ladefoged, Maddieson 1996, p=221
[35] 간행물 Jones, Ward 1969, pp=104–105 and 162
[36] 웹사이트 'Читать онлайн "Аффрикатизация звуков [т'], [д'] и её значимость в плане преподавания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как иностранного" - Воронина С. Б. - RuLit - Страница 3' https://www.rulit.me[...] 2023-01-15
[37] 문헌
[38] 문헌
[39] 문헌
[40] 문헌
[41] 문서 Russian language course "Russo Sem Mestre" (Portuguese for ''Russian without Master'')
[42] 문헌
[43] 서적 Русское литературное произношение Просвещение
[44] 서적 Russian: A Linguistic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45] 문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